문득 이번 조국 후보자의 자녀논란을 보면서 대학입시에 있어 신분과 계급에 따른 학생과 학부모 사이의 정보의 비대칭이 심각하구나 하는 사실을 새삼 확인하게 되었다. 당연한 것이 나 역시 고3 시절 부모님 모두 일하시느라 새벽이나 아주 밤늦게 한두번 얼굴 보는 정도가 고작이었었다. 당장 먹고 살기도 바쁜데 대학마다 어떤 전형이 있고 이들 전형에 응시하려면 어떤 자격과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지 일일이 살피고 알아서 대응할 여유와 수단이 부모들에게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담임에게 맡기기에는 그렇지 않아도 교사들에게도 부담이 너무 크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겠는가.

 

처음에는 입시상담교사를 만들어서 각 학교에 배치하면 어떨까 생각해 봤는데, 그렇다면 입시상담교사의 전문성을 무엇으로 판단해서 어떤 기준으로 채용해야 할 것인가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걸리고 말았다. 자격증을 새로 신설할 것인가? 아니면 관련한 전문적인 경력을 요구할 것인가? 기존의 교사 가운데 선발한다면 역시 무엇을 기준으로 선발할 것이며 교사들은 이런 새로운 보직을 환영하여 기꺼이 맡으려 할 것인가? 아니면 아예 교육부 차원에서 공무원 가운데 선발해서 학교마다 파견하는 것은 어떨까? 아니면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주민에게 무상으로 입시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맡게 하면 어떨까?

 

결국은 정보의 비대칭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와 국가가, 즉 공적인 시스템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그 괴리를 해소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굳이 입시명문고에 진학하지 않더라도, 입시명문학원에서 사교육의 힘을 빌리지 않더라도, 충분히 자격과 실력을 갖추었음에도 몰라서 그런 전형들을 몰라서 응시하지 못하는 경우를 사회와 국가 차원에서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노력한다. 아무라도 찾아가 상담할 수 있고, 상담사들은 전국적으로 네트워크화되어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서 서로 연동하고 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실제 참여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 대학입시야 말로 한국 교육의 시작이고 끝이라면 그런 너무나 복잡하고 다양한 대학입학 전형과 그를 위한 방법들에 대해 실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야 말로 공교육의 강화가 아닐까. 공적 시스템으로의 회귀와 복원이지 않을까.

 

그냥 조국 후보자에 대해 쓰다가 무심코 스친 생각들이다. 가능할지는 모르겠다. 아마 지금도 대부분 학생들은 학교 선생님보다는 입시학원에서 전문상담사와 상담하며 대학입학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을 것이다. 사교육의 영역은 사교육에 맡기고 공교육은 공교육으로서 할 수 있는 일들은 한다. 사실 따지고 보면 이런 일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잘 할 수 있는 것은 오히려 사교육이 아닌 공교육일 것이다. 그만큼 고도로 체계화되었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가난한 아이라도 자기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전형을 찾아 어렵지 않게 장학금 받으며 목표한 대학에 진학할 수 있게 한다. 너무 꿈일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