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은 정대협 - 즉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정의기억재단이 통합하며 만들어진 단체다. 그리고 이 가운데 핵심은 역시 지난 30년 동안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앞장서 온 정대협일 것이다. 그러면 어째서 위안부문제대책협의회가 아닌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되었는가? 그냥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가 알려지고 공론화되던 무렵 정작 위안부와 정신대의 구분이 아직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일본에 의해 강제로 끌려갔으면 정신대다. 일본에 의해 강제로 끌려가 고초를 겪고 돌아왔으니 정신대다. 그러니까 위안부 피해자들도 정신대 피해자다. 그래서 아마 90년대 중반까지 위안부라는 말보다 정신대라는 말이 사람들에게 더 익숙하게 들렸을 것이다. 정신을 차려보니 어느 순간부터인가 위안부가 되어 있었고, 그보다는 성노예라는 표현을 써야 한다는 주장이 더 강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출발은 구분없이 정신대였었고, 그래서 정작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단체이면서도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라는 지금으로서는 생뚱맞은 이름을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이었다.

 

원래 정대협은 정신대 - 즉 일본에 의해 강제로 노동을 징발당했던 근로정신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설립된 단체였었다.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을 위한 단체인데 위안부 피해자들을 앞장세운 것이었다. 정대협의 시작과 그동안의 활동들을 지켜 봐 온 사람들에게는 상당히 당황스러울 수 있는 주장이다. 정신대를 위안부와 같은 뜻으로 무려 21세기에 들어서도 무심코 사용하고는 했던 사람들에게는 그게 원래 그런 뜻이었던가. 오죽하면 정신대와 위안부는 다른 뜻이라고 사람들 앞에서 떠들었다가 개무시당한 경험까지 있었을 정도였다. 그게 그 뜻이지 뭔 상관인가. 어찌되었거나 정신대도 강제로 끌려간 사람이니 크게 다르지도 않지 않은가.

 

그냥 대충 넘어가려다가 원래 타고난 성미가 그런 탓에 어쩔 수 없이 끄적이고 만다. 정신대 문제 해결을 위한 단체가 위안부를 앞세워서 이용한 것이 아니라 원래 그 시절 정신대란 위안부를 가리키는 것이었었다. 그래서 나중에는 근로정신대 피해자 가운데 혹시라도 위안부로 오해받을까봐 나서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어 문제가 되기도 했었다. 그런데 그런 과정들은 깡그리 무시한 채 이제와서 단어의 차이로 이용했다고 주장하는 것인가.

 

아직 숨어있던 정신대 피해자들이 세상으로 나오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던 정신대 신고전화 역시 1991년부터 정대협에서 만들어 운영했던 것이었다. 역시나 이 전화를 통해 스스로 세상에 나서기를 바랐던 대상들 역시 위안부 피해자들이었다. 아마 이용수 할머니도 이 전화를 통해 정대협과 인연을 맺고 세상에 나와 활동을 시작했을 텐데. 참 세월이 무서운 것이다. 모르는 사람은 그냥 속아넘어가겠다. 언론이야 알면서도 속겠지만. 

 

결론은 어찌되었거나 정신대도 예외고 다른 나라 피해자들도 별개고 그저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해서만 활동해 달라. 정대협, 그리고 정의연의 존재로 인해 일본 정부가 보상도 사죄도 제대로 못하고 있으니 그냥 사라져 달라. 정신대와 위안부를 분리한다고 일본 정부가 알겠습니다 사실을 인정하고 배상까지 하려 할 지는 모르겠지만. 위안부 운동은 인권운동이 아닌 피해자운동이다. 일본 정부의 승리다. 위안부협상에 왜 반대한 거지? 아무튼 이렇게 끝났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