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인정이라는 말을 싫어하는 이유다. 같은 이유로 역지사지라는 말도 싫어한다. 정의는 보편적이다. 그리고 일반적이다. 그 말은 곧 인격이 없다는 뜻이다. 누구에게도 소유되지 않는다. 누구도 정의를 소유할 수 없다. 사람을 위해 정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자리에 원래부터 있는 것이다. 그래서 지성의 역사란 원래 있는 그 정의를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아직도 인간은 그런 과정 위에 있다.


그런데 인정은 다르다. 인정은 철저히 개인에게 귀속된다. 그리고 대개는 현실에서 실제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어쩌면 더 직접적이기도 하다. 그 사람은 착하다. 성실하다. 예의바르다. 주위에 두루 잘한다. 하지만 그 평가조차 결국은 그를 지켜보는 주위에 의해 결정된다. 이를테면 동네사람 누군가 성폭행을 저질렀다. 그 사실이 알려졌다. 한 사람은 그 사실을 경찰에 신고했고, 다른 한 사람은 그 사실을 감추려 움직였다. 누가 더 인정이 있는가.


그래서 역지사지라는 말도 싫어한다. 네가 그 입장이 되어 보라. 네가 그 성폭행범의 입장이 되어 보라. 성폭행을 저질렀다고 세상의 비난을 받고 법적인 처벌까지 받아야 하는 처지가 되어 보라. 눈앞에 무방비의 여자가 있는데 너라고 눈돌아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거랑 별개다. 네 가족이 그렇게 참혹하게 살해당했는데 너라면 참고만 있겠는가. 당연히 참고 있지 않다. 하지만 내가 참고 있지 않을 것이라고 그것이 정의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냥 내 감정이다. 하지만 그런 식으로 인간을 저열한 감정과 욕망의 노예로 격하시킨다.


폐쇄된 시골마을에서 곧잘 이같은 끔찍하고 말하기에도 괴기스런 사건들이 곧잘 일어나게 되는 이유다. 서로가 서로를 이해한다. 서로가 서로를 감싸준다. 인정이 넘친다. 그래서 그 인정을 위해 때로 타인을 희생시킨다. 자기 마을 사람이 아니라면 - 즉 서로 인정을 공유하는 '우리'라는 집단에 들어 있지 않다면 기꺼이 그 인정을 위해 대상을 희생시키려 한다. 서로 좋으니까. 서로가 기쁘면 그만이니까. 내일도 보고 모레도 봐야 할 상대다. 그런 사람이 불편한 것이나 그로 인해 자기가 불편한 것을 피할 수 있다. 어차피 서로 좋은 게 좋은 것이다. 자기들끼리 결정하면 폐쇄된 환경에서 그런 모든 것이 가능하다.


여러 해 전 이슈가 되었던 섬노예 사건도 결국 그런 연장이었다. 마을사람 모두 - 심지어 경찰들까지 섬노예의 존재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불편해지기 싫다. 그냥 이대로 좋은 채 지내고 싶다. 그냥 하찮은 노예 하나 희생시키면 되는 일이다. 더 큰 것을 위해 작은 것을 희생한다. 인정의 세계에서 인간의 가치는 인간의 거리에 비례한다. 보편적인 인간이란 보편적인 지성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익숙한 인간의 관계가 보편의 정의와 윤리를 대신한다. 법마저 그 완고한 인정의 고리를 파고들지 못한다. 완벽하게 닫혀 있는 그들만의 세계다.


분명 시골이 도시보다 인심이 좋다. 인정이 많다.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바로 그렇기 때문이다. 서로 좋기 위해서. 서로 편하기 위해서. 차라리 피해자를 비난한다. 피해자를 마을에서 쫓아낸다. 너희가 마을 물을 다 흐려놓았다. 너희로 인해 마을의 체면이 떨어졌다. 그렇게 피해자만 쫓아내고 나면 다시 전처럼 문제없이 살수 있다. 죄인가의 여부마저 자기들끼리 결정한다. 서로의 관계를 고려해가며. 그것이 그들의 정의이며 윤리이며 도덕이다.


그런데 사실 이건 한국사회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마 대중문화를 통해 이해하는 바로 세계 어디에나 비슷한 문제가 존재하고 있을 것이다. 때로 시골이라는 공간이 공포와 스릴러의 배경으로 흔하게 쓰이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보편의 정의가 사라지고 개인의 인정이 지배하는,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넘어가는 원시사회에 대한 본능적 두려움이다. 인간은 정의를 추구한다. 정의를 추구하는 것이 지성이다. 우울한 현실이다.

이를테면 몸무게 50킬로그램인 남성에게 몸무게 100킬로그램인 남성과 아무 조건 없이 링 위에서 정정당장하게 권투로 겨루라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과연 5살짜리 여자아이와 20살 넘는 성인남성을 같은 조건 아래 아무 제약없이 시합하게 했을 때 그것을 공정하다 정당하다 말할 수 있는가. 아니 같은 성인이더라도 20살 여성과 20살 남성을 같은 조건에서 시합시키는 것이 정당한 것인가.

맨몸으로는 도저히 맞설 수 없는 프로격투기선수에 대항해서 여성이 손에 칼을 들었다면 그것을 부당하다 비겁하다 말할 수 있을 것인가. 자기보다 키도 크고 덩치도 크고 힘에서도 우월한 상대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무기를 들어야 했다면 그것만으로 악의가 있었다 처벌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인가. 강자의 법과 약자의 법은 그래서 다르다. 강자는 가만히 있어도 이미 우월한 지위에 있기에 강자인 것이다. 약자는 비상한 수단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열등한 위치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만큼 강자에게는 엄격하게 약자에게는 관대하게 규준을 적용해야만 한다.

여성주의가 얼핏 과격하게 보이는가. 흑인운동이 때로 지나치게 폭력적인 것은 아닌가 여겨질 때가 있는가. 퀴어축제에서 여러 성소수자들은 일반인의 상식을 벗어난 모습을 자주 보이기도 한다. 약자이기 때문이다. 소수이기 때문이다.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들리지 않는다. 그렇게라도 해야지만 겨우 완고한 강자들의 세계에 조금이라도 자기의 목소리를 전할 수 있다. 자기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더 강하게 더 극성으로 더 비상한 수단을 동원하여 발버둥쳐야지만 겨우 자기에게 허락된 권리를 조금이나마 누릴 수 있다.

여성도 남성과 같으라. 여성도 남성과 같이 행동하라. 점잖게. 얌전하게. 착하게. 성실하게. 온건하게. 하지만 막상 남성이 자신을 위협하려 하면 아무거라도 무기가 될 만한 것을 손에 들어야 하는 것이 여성인 것이다. 무기를 들고서도 감히 상대인 건강한 남성을 이기기는 커녕 막을 수 있을까를 걱정해야 한다. 허세를 부리고 소리를 지른다. 거짓으로 협박도 한다. 도덕의 문제가 아니다. 생존의 문제다.

같은 룰 아래 승부를 겨룰 한가한 상황이 아닌 것이다. 어째서 여성들이 저토록 강하게 남성들을 성토하는가. 정확히는 자신에게 일방적으로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신체적인 남성의 우월함이다. 그럼에도 여성을 단지 성적 대상으로, 욕망의 분출구로 삼으려는 공격성이다. 남성이 자제해달라. 남성이 조심해달라. 조용히 말해서는 들어먹지 않으니까. 언제 한 번 남성들이 조용한 여성의 목소리에 귀기울인 적 있는가.

평소 무시하며 지내왔기 때문이다. 그런 것이 있는지도 모른 채 무심하게 지나쳐 왔었다. 이제 보니 왕왕 시끄럽다. 괜히 귀아프고 정신이 사납기도 하다. 내가 손해를 본다. 내가 피해를 본다. 내가 기분나쁘다. 여성을 철저히 타자화한다. 객관화한다. 잣대를 들이민다. 평가를 하고 채점을 한다. 전혀 상관없는 자신의 기준으로. 여성은 공격적이다. 여성의 반응이 지나치다. 단지 내 관점에 의해서. 다른 것 없다. 내가 귀찮고 싫다. 아무튼.

혐오란 대상을 무작정 싫어하는 것이 아니다. 그냥 싫은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대상을 무시하는 것이다. 부정하는 것이다. 독립된 주체로서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모든 가능성을 부정한다. 말과 행동을 오로지 자기에게 귀속시킨다. 자기가 판단한다. 자기가 결정한다. 종속된다. 여성들이 시끄럽다. 여성들이 지나치다. 여성들이 잘못알고 있다. 잘못 판단하고 있다. 어리석다. 한심하다. 나는 잘못 없다. 재미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