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고위직 임원을 늘리기 위해 진짜 필요한 정책
오래전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가사노동의 가치가 남성의 노동과 필적한다 주장한 바 있었다. 이혼할 때 결혼기간 중 생성된 재산에 대해 동등하게 나누도록 법으로 정한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이다. 여성의 내조가 없었다면 남성의 성공도 없었다. 그 논리를 바로 돌려준다. 남성의 내조가 없다면 여성의 성공 역시 어려울 수밖에 없다.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자신의 일에 더 열심일 수 있는 이유는 결국 한 가지다. 여성의 내조가 있기 때문이다. 집안을 온전히 아내에게 맡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재산관리든 아이들 육아며 교육이든 모두 아내에게 맡기고 자기는 오로지 바깥일에만 열심일 수 있다. 반면 여성은 일정한 지위에까지 오른 뒤에도 여전히 관습적으로 집안일도 신경쓰지 않으면 된다. 물론 가사도우미를 두면 해결될 문제이기는 하다. 지금 성공한 여성으로서 한창 여성운동에 열심인 여성들의 경우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다지 집안일 같은 건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층위의 여성들이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방법은 역시 한 가지 뿐이다. 여성이 여성의 내조를 받아가며 일에만 열심일 수 있는 남성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여성 또한 남성의 내조를 받을 수 있도록 법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남성이 전업주부가 되면 세제혜택을 주겠다. 남성이 전업주부가 되어 가사노동을 하면 가사노동의 가치를 인정해서 일정액 아내인 여성의 급여를 보전해 주겠다. 아니면 쉽지 않은 가사노동을 돕기 위해 가사도우미를 지원해 주겠다. 그러므로 남성들이여 여성들을 위해 자신의 일을 포기하고 훌륭히 내조에 힘쓰라. 자기보다 능력있고 돈도 더 잘 번다면 찬성할 남성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더구나 많이 깨인 지금의 남성들은.
그러고보니 오래전 어느 여성주의자와의 논쟁이 생각난다. 결국 그렇게 마무리되었다. 남성들이 기꺼이 일을 포기하고 집안에서 아내를 내조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나 역시 내 아내가 그럴만한 사람이라 여겨지면 그리 할 것이라 했고, 그 여성주의자 역시 자신도 그런 남성을 만나고 싶다고 했었다. 결국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 아닐까.
허튼 짓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래도 대부분 여성들은 여전히 집안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맞벌이를 하는 와중에도 여전히 집안일에는 여성이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이 아직까지 현실이다. 육아와 교육은 그래서 대부분 여성들이 더 민감하게 반응할 문제라 여긴다. 상식을 뒤집는다. 원래 여성주의자들이 주장한 바였기도 하다. 기억을 떠올려 본다.